🕵️♂️ 신변확보 vs 신병확보 – 진짜 올바른 표현은?
❓ 자주 헷갈리는 두 표현
“구조 대상자의 신변을 확보했다”
“용의자의 신병을 확보했다”
둘 다 자주 들리는 말인데, 뭐가 맞는 표현일까요?
👉 정답부터 말하자면:
✅ 신병 확보 = 올바른 표현 (공식 용어)
❌ 신변 확보 = 틀리거나 매우 드물게 쓰이는 비공식 표현
📌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 비교
항목신병(身柄)신변(身邊)

한자 의미 | 몸 그 자체 | 몸의 주변 |
실제 뜻 | 사람의 신체적 존재 자체를 확보하는 것 | 사람의 신체적 안전과 관련된 주변 상황 |
쓰임 목적 | 체포, 인계, 구조 등 ‘인물 확보’ 상황 | 보호, 감시, 안전 조치 상황 |
사용 대상 | 피의자, 실종자, 구조자, 피난자 등 | 피해자, 증인, 협박 대상 등 |
경찰 사용 여부 | ✅ 자주 사용 | ✅ 신변 ‘보호’로는 사용, ‘확보’는 ❌ |

✍️ 예문 비교
표현올바른 문장설명
✅ 신병 확보 | “경찰은 용의자의 신병을 확보했다.” | 체포/구조 상황에서 사용 |
✅ 신변 보호 | “피해 여성에 대해 신변 보호 조치가 내려졌다.” | 위협 대상 보호 시 |
❌ 신변 확보 | “피의자의 신변을 확보했다.” | ❗ 어색하거나 부정확한 표현 |
💡 왜 "신변 확보"는 틀렸을까?
- “신변”은 **신체 그 자체가 아니라 ‘신체 주변 상황’**을 의미합니다.
- 따라서 확보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. 보호나 조치의 대상이 되는 것이죠.
✅ 경찰 공문, 언론 보도 등에서도 **“신병 확보”, “신변 보호”**만 사용합니다.
📚 실무 활용 예시
상황올바른 표현이유
범인을 체포했을 때 | “용의자의 신병을 확보했다.” | 사람 자체를 확보 |
스토킹 피해자 보호 | “피해자의 신변 보호 조치를 시행했다.” |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 |
구조된 실종자 발견 | “실종자의 **신병을 확보하고 가족에게 인계했다.” | 구조자의 몸을 확보 |
✅ 결론 요약
구분신병 확보신변 보호
올바른 표현? | ✅ 맞음 | ✅ 맞음 |
자주 쓰는가? | 경찰/구조 등 공식 용어 | 피해자 보호 조치에 사용 |
‘신변 확보’는? | ❌ 공식 표현 아님, 혼용 자제 |
🔖 한 줄 정리
“사람을 잡으면 신병 확보,
사람을 지키면 신변 보호,
‘신변 확보’는 국어도, 경찰도 안 씁니다!”
✅ 1. 신병 확보 (正: 쓰임 O)
구분설명
뜻 | 대상의 신체를 확보, 즉 체포하거나 보호하여 이탈하지 못하도록 함 |
사용 예시 | - “용의자의 신병을 확보했다.” |
- “피의자의 신병이 확보되어 검찰에 송치되었다.” - “실종자의 **신병 확보 후 보호 조치** 완료.” |
✔️ 경찰에서는 형사사건, 체포, 보호조치 등에서 **‘신병 확보’**라는 말을 씁니다.
✅ 2. 신변 보호 (正: 쓰임 O)
구분설명

뜻 | 사람의 신체적 안전을 보호함. 주로 위협 상황에서 보호조치를 취할 때 사용 |
사용 예시 | - “스토킹 피해자에 대해 신변 보호 조치를 시행했다.” |

- “위협을 받는 증인에 대해 **신변 보호 요청**이 접수되었다.” - “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해 **신변 안전조치** 시행.” |
✔️ 경찰에서는 보복, 위협, 스토킹 등에서 피해자에게 **‘신변 보호’**라고 표현합니다.
❌ “신변 확보”는 틀릴까?
“신변 확보”는 공식 용어가 아니며 경찰 매뉴얼이나 법령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.
다만 일상에서 가끔 혼용되기도 하지만,
정확한 문서나 보도자료, 수사 보고서 등에서는 ‘신병 확보’, ‘신변 보호’로 명확히 구분합니다.
📊 요약 비교표
용어의미주 사용 대상경찰에서 사용 여부올바른 표현?
신병 확보 | 인물 자체 확보 (체포/보호) | 피의자, 구조자 | ✅ 사용 O | ✅ 맞음 |
신변 보호 | 신체적 안전 보호 | 피해자, 민간인 | ✅ 사용 O | ✅ 맞음 |
신변 확보 | ❌ 공식 의미 없음 | - | ❌ 사용 안 함 | ❌ 틀림에 가까움 |
🔍 실제 경찰 공문/뉴스 예시
- “경찰은 피의자의 신병을 확보하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.”
- “경찰은 피해 여성의 신변 보호 조치를 시행했다.”
✅ 결론
경찰에서 “신병 확보”와 “신변 보호”는 완전히 다른 용어입니다.
“신변 확보”는 혼용되기도 하지만, 공식 용어로는 부정확하며
정확하게는 '신병 확보' 또는 '신변 보호'를 상황에 맞게 써야 합니다.
✅ 올바른 표현: 신병 확보
구분뜻사용 맥락
신병(身柄) | 사람의 몸, 즉 사람 자체를 확보함을 뜻함 | 구조, 체포, 구호, 보호 등 상황에서 대상자를 확보할 때 사용 |
신변(身邊) | 몸 주변, 처지, 상태를 의미 | 주로 걱정, 보호, 관리 대상: 예) 신변의 위협, 신변 보호 조치 |
🧯 구조대 상황에서 어떻게 써야 할까?
예시:
- 구조 대상자를 무사히 구조 → 신병 확보 완료
- 인질, 사고자, 실종자 등을 구조 → 신병을 확보하여 안전한 장소로 이송함
❌ 잘못된 표현: “신변 확보”
- "신변 확보"는 어색하거나 부정확한 표현입니다.
- **“신변 보호”**는 맞는 표현이지만, “신변 확보”는 국어사전이나 공식 문서에서 인정되지 않습니다.
📌 요약
신병 확보 | ✅ 맞음 | 구조, 체포, 구조 완료 상황에 적합 |
신변 확보 | ❌ 틀림 | “신변 보호”는 가능하지만 “확보”와 결합은 부적절 |